Buddha 오리지널 수행으로 인류의 자유와 진보를 위해 헌신하는 싸띠아라마(SATI Arama)의 30년간 역사입니다
1960년 | 이 운동을 시작한 『Buddhapāla』 Bhante가 『芙蓉靈觀』이 태어난 아름다운 곳 삼천포 해안가에서 태어남 |
1975년 1월 보름(음) | 통도사 스님들의 서울 기숙사인 약사사로 출가함 |
1977년 10월 보름(음) | 영축총림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청하대장로(靑霞大長老)를 은사로 월하대장로(月下大長老)를 계사로 沙彌戒 받음. 법명은 본원(本願) |
1986년 9월 5일 | 금정총림 범어사 금강계단에서 열린 조계종 제7회 단일계단에서 자운대장로(慈雲大長老)를 계사로 比丘戒 받음 |
1990년 9월 9일(음) | 울산 문수사에서 청하대장로로부터 당호 선담(禪曇)을 받음 |
1992년 5월 3일 | 영축총림 통도사승가대학 졸업. 입학은 1977년 음력 10월 |
1996년 12월 25일 | 인도 Buddhagaya 보리수 아래서 Rastrapāla』 Mahāthera를 계사로 比丘戒를 첨계함. 법명은 붇다빨라(Buddhapāla) |
1997년 1월 25일 | 미얀마 Mahasi 선원에서 U Vasava』 Mahāthera를 계사로 비구계를 첨계함 |
1990년 2월 25일 | 동국대학교 선학과 학사졸업 |
1994년 2월 25일 |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전공 문학석사 |
1993년 | 조계종불학연구소 연구원 |
1996년 |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전공 박사과정 수료 |
1996년 12월 1일 | 불이상 수상 |
1980년 10월 27 | 전두환 정권이 불교를 탄압하는 과정에서 사찰에 불법으로 침입한 사건을 계기로 정의의 수호자, 불교와 수행의 호법신장이 되기로 결심 |
1985년 3월 2일 |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입학하고 10년 동안 민주화운동을 하면서 사회정의를 위해 헌신함. 동시에 불교의 새로운 길을 찾아서 고민하기 시작 |
1995년 9월 1일 | 10년 동안 숭실대학교불교학생회, 동국대학교불교학생회, 외국어대학교불교학생회, 대불련 달마지구, 부산지구 등에서 수행지도 |
1988년 5월 31일 | 여름 Vassa(安居)를 통도사 普光禪院에서 정진 |
1993년 3월 7일 | 싸띠아라마(SATI Ārāma) 설립자인 붇다빨라(Buddhapāla Mahāthera, 禪曇本願 大長老)가 영축총림 통도사 포교국장으로 재직하며 통도사에 국제수행학교 『International Sati School』을 설립하고 근본불교운동 시작. 개교 당시 이름이 『영축불교 교육원→ 근본불교 학교』 |
1994년 3월 13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유락여중 건너편 건물을 임대해 활동 |
1994년 4월 1일 | 조계종 개혁회의를 끝으로 수행정진 준비 |
1995년 3월 5일 | 1996년 12월까지 2년 동안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강의 |
1996년 3월 16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 미남로터리로 이사해 참선수행 시작 |
1996년 12월 1일 | 불이상 수상 |
1996년 12월 20일 | 불교와 수행의 출발지인 인도 Buddhagaya로 가서 대원력을 세우고 처음부터 새롭게 시작 |
1996년 12월 25일 | 인도 Buddhagaya 보리수 아래서 Rastrapāla Mahāthera를 계사로 比丘戒를 첨계함. 이때 받은 법명이 Buddhapāla. 4대성지를 순례하며 원력 세움 |
1997년 1월 18일 | 미얀마 Mahasi 선원으로 가서 다시 수계하고 U Vasava Mahāthera와 U Jatila Mahāthera를 모시고 지도받으며 수행. 이후 1999년 11월 10일까지 한국과 미얀마를 오가며 수행 정진함 |
1998년 8월 2일 | 아침 7시 36분 무렵 Mahasi 선원에서 U Vasava』 Mahāthera의 수행지도로 Maggaphala(道果)에 들어 nibbāna(涅槃)를 성취하고 Buddha의 법을 만나고 수행지도를 인가받음 |
1999년 6월 20일 |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269번안길 97에 수행도량 싸띠아라마(SATI Ārāma) 마련하고, 이곳으로 옮겨서 수행함 |
1999년 10월 23일 | 7월 27일~10월 23일 미얀마 Chanmya 선원에서 U Vasava’ Mahāthera와 U Sopaka’ Mahāthera를 모시고 Vassa(安居)를 지내며 수행을 마침. 다시 4대성지를 참배하며 재차 원력을 세움. *수행을 지도한 위대한 스승들은 ‘U Vasava’ Mahāthera, ‘U Jatila’ Mahāthera, ‘U Janaka’ Mahāthera, ‘U Sopaka’ Mahāthera |
2002년 3월 31일 | 이후 3년 동안 한국과 인도 Buddhagaya를 오가며 수행을 심화시킴 |
1999년 10월 23일 | 미얀마 Mahasi 선원으로부터 기술이전 완료 *수행기술을 지도한 위대한 스승들은 ‘U Vasava’ Mahāthera, ‘U Jatila’ Mahāthera, ‘U Janaka’ Mahāthera, ‘U Sopaka’ Mahāthera |
2000년 10월 5일 | 수행이론서 『Buddha 수행법』 발간함. 처음 발간할 때 이름은 불교수행의 이론과 실제임. |
2003년 5월 8일 | 『Mūla Sangha 법요집』 발간. 처음 이름은 『근본 Sangha 법요집』 |
2008년 12월 20일 | 불교안내서 『Buddha 가르침』 발간함 |
1999년 2월 15일 | 法藏 김영진 법우가 다보산 SATI Ārāma에서 최초로 단기출가. Paññādīpa Bbhante가 최초로 장기출가. |
2000년 1월 5일 | 두 명의 여자 수행자가 7일 동안 최초로 싸띠아라마에 머물며 집중수행 |
2000년 10월 5일 | 싸띠아라마를 근본불교승가, 김해세무서에 사회단체로 등록 |
2002년 1월 21일 | 불교와 수행의 출발지이자 Buddha가 아라한뜨를 성취한 불교 최고의 성지 보리수 아래서 《Buddhagaya 선언문》을 발표하고, 이곳에 근본도량을 설립, 세계를 무대로 자유와 진보, 평등과 평화, 다양함과 공존의 가르침인 Buddha Style의 수행법을 사회로 회향하겠다고 선언. 동시에 인도불교복원사업과 수행지도자양성사업을 시작하겠다고 서원 세움. 이때 梵海 대장로, 希文 대장로, 심진 대장로, 혜일 조명제 법우를 비롯한 30여 명의 법우가 동참 |
2002년 3월 21일 | 만만불사(萬萬佛事) 모금 시작. 인도불교 복원불사와 수행지도자양성사업을 진행할 자금모금 시작 |
2002년 8월 29일 | 일반인들에게 수행기술을 전하는 프로그램인 <수행기술>을 1주일에 1회, 1회당 120분, 3개월 과정으로 개설. 이때부터 부산, 서울, 대구, 대전, 울산 등 전국적으로 활동 |
2005년 3월 12일 | 수행지도자양성과정 프로그램 《SATI MASTER》가 2년 4학기 과정으로 개설. 처음에는 1년 2학기 과정이었음 |
2005년 5월 1일 | 수행전문지 『PANNA』(보안기획)』 발간. 편집장은 香雲 박재흠, 편집은 隨眞 천윤경, 인쇄는 德雲 주영배. 이후 『SATI BODHI TREE』로 제호를 바꾸고 후원회 『BODHI TREE』 기관지로 변경 |
2005년 6월 29일 | 경남도에 종교법인 사단법인 Mula Sangha 인가받음. Mula Sangha가 근본불교승가란 뜻이므로 근본불교승가는 폐업. 처음 이름은 사단법인 수행도량 반냐라마였고, 이후 싸띠아라마(SATI Ārāma)로 변경 |
2005년 7월 25일 | <특수분야 교사직무연수> 시작함. SATI수행을 교육현장에 활용하고 교사의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
2005년 10월 16일 | 공덕쌓기 프로그램인 <SATI 福田> 시작. 인도불교 복원사업과 수행지도자 양성사업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모금 활동 개최 |
2005년 12월 10일 | 최초의 수행지도자 SATI MASTER 15명 배출 |
2006년 3월 11일 | 수행지도자 양성과정 <SATI MASTER>가 2년 과정으로 확대 |
2006년 5월 31일 | 인도 델리 정부로부터 자선재단 Mula Sangha 인가받음. 이때부터 Buddhagaya에 근본도량인 국제수행도량 SATI Ārāma 부지 매입 시작. 처음 이름은 Buddha Dhamma Sangha |
2006년 12월 25일 | 전문가들 수행을 지도하는 프로그램 <2006 International Sati Workshop> 시작. 전 세계 수행지도자를 초청해 Buddha가 창안한 Original Buddha Style의 수행기술을 수행이 처음 창안된 곳에서 오리지널 텍스트에 기초해서, Buddha 수준에서 해석하고 수행하며, 수행의 원형을 복원하는 작업이다. 처음 이름은 International Sati Camp. 이후 매년 소규모로 개최 |
2007년 4월 1일 | Buddha Style의 수행기술을 함께 배우고 익히는 프로그램 |
2007년 5월 20일 | 마음운동 『Sati Life』 창립. 수행으로 마음생태를 건강하게 하여 인류의 자유와 진보에 기여하자는 시민운동. 슬로건은 Enjoy Sati 수행을 즐기자 |
2007년 8월 24일 | CEO를 위한 <Anāthapindika Camp> 개설 |
2008년 7월 26일 | 수행지도사 SATI MASTER를 국가등록 민간자격으로 등록. 제2008-0352호로 명상분야 최초 |
2009년 4월 26일 | 수행을 대중화하는 프로그램인 <SATI 길걸음> 시작. 수행시민운동인 Sati Life의 첫 대중화 캠페인으로 걷기 수행을 대중과 함께 공원에서 개최 |
2008년 10월 10일 | 원광디지털대학교 요가학과에서 싸띠아라마((SATI Ārāma))를 수행도량으로 지정. 그 때 이름은 Paññārāma |
2008년 10월 15일 | 수행 전문평생교육원으로 SATI 평생교육원을 김해 교육청으로부터 인가받음. 단위 사찰 평생교육원으로는 최초 |
2010년 5월 20일 | 함께 또 따로 프로그램인 수행공동체 <SATI Kuti 土窟>를 다보산 싸띠아라마에 개설 |
2010년 5월 20일 | 대학생 불교연합회 부산동문회 지도법사로 수행지도 |
2010년 5월 27일 | 수행과 차를 함께 익히는 프로그램인 <Tea Sati Workshop>개설. 茶禪一味를 슬로건으로 Buddhadīpa Bhante가 지도 |
2010년 8월 21일 | 수행과 운동을 함께 하는 프로그램인 <Kāya Sati Workshop>개설. 슬로건은 몸과 마음은 하나 |
2011년 4월 14일 | 수행과 음식을 결합한 프로그램 <Food SATI>개설. 프로그램 진행은 Mahāpaññā Bhante |
2011년 6월 10일 | 世界一花 수행, 음식, 운동, 문화, 한방을 결합한 프로그램인 <SATI 자연건강 Camp> 개설. 이 프로그램은 송하 정동주와 Dhammavalahaka 조영호가 진행 |
2011년 6월 15일 | 부산광역시 교육위원회가 학생집중 강화훈련기관으로 지정 |
2011년 7월 10일 | 수익사업체 bodhi tree를 김해세무서에 신고함 |
2011년 9월 26일 | 수행전문 인터넷신문 『SATI News』 창간 |
2011년 9월 23일 | SATI 싸띠 상표등록 |
2012년 1월 1일 | 마음산업 프로그램인 <Mind Care>가 Sangha로부터 분리독립. 대표 智慧 이태호. |
2012년 3월 30일 | 조계사 ‘마인드케어평생교육원’과 수행과 교육 지원 프로그램 업무협약 체결 |
2012년 11월 8일 | 수행학회 SATI ACADEMY 한국연구재단에 등록 |
2012년 11월 8일 | 수행연구소 SATI INSTITUTE 한국연구재단에 등록 |
2012년 1월 18일 | 모든 수행 프로그램 이름을 MOST: Mindscience Origin Sati Technic으로 정리 |
2013년 1월 10일 | 통도사 ‘영축마인드케어평생교육원’과 수행과 교육 지원 프로그램 업무협약함. |
2013년 3월 15일 | 수행의 사회화 운동의 본부 ‘Sati International’을 창립하고 수행의 사화화 운동 전개 |
2013년 12월 7일 | ‘공익법인 밝은세상’, ‘사단법인 한국힐링케어문화연구원’과 수행과 교육 지원 프로그램 업무협약 체결 |
2014년 4월 | 신한은행 은행장, 임원, 모든 지점장이 통도사에서 연수. 지혜 이태호 법우가 진행 |
2014년 9월 | 경북도의회 도의원 35명이 통도사에서 연수. 지혜 이태호 법우가 진행 |
2014년 11월 12일 | ‘한사랑병원, 김해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와 수행지원에 관한 업무협약 체결 |
2015년 1월 19일 | 인도 Buddhagaya Sati Arama에 Buddha Sasāna Hitakārī Sīma 佛轉戒壇을 개단함. 이 법회는 U Vasava』 Mahāthera 가 증명법사로 참여하고 100여명의 스님들이 참여 |
2015년 11월 15일 | 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동문회와 수행지도에 관한 업무협약 체결 |
2016년 6월 20일 | 한국명상의학회에 수행 지도 |
2016년 11월 15일 | 국제수행학교 International Sati School 개교. 스님들을 양성하고 전문수행자를 교육하는 도량으로 인류의 자유와 진보를 위해 헌신하고 인도불교복원사업을 위해 활동할 인재 육성을 위함 |
2017년 6월 18일 | 한국 다보산 Sati Arama에 Buddha Sasāna Pāla Sīma 佛護戒壇을 개단함. 이 법회는 U Vasava』 Mahāthera가 증명법사로 참여하고 50여명의 스님들이 참여 |
2018년 2월 5일 | 인천광역시 부평구청과 <힐링 프로그램> 업무협약 체결 |
2018년 4월 11일 | 국제수행학교 International Sati School에 최초로 <Samanera 반>을 개설하고 57명의 스님이 입학 |
2018년 7월 15일 | 국제수행학교 International Sati School에 최초로 <Bhikkhu 반>을 개설하고 3명의 스님이 입학 |
2018년 8월 15일 | 국제수행학교 『International Sati School』에 최초로 기숙사 건물이 완공됨. 4층 높이로 연견평 약 1천평규모임. |
2018년 5월 1일 | 한국정신건강증진센터 트라우마센터 명상기술로 SATI수행이 채택됨 |
2019년 8월 23일 | 인도 델리대학교(University of Delhi) 대학원생에게 수행지도 시작 |
2019년 10월 15일 | 국제수행학교 International Sati School에 香山堂 건물이 완공되고 대중공양 공간으로 사용됨. 약 200평 규모 |
2019년 10월 15일 | 동국대학교 경주캠프서 불교학부와 수행교류에 관한 업무협약 체결 |
2019년 10월 15일 | 사단법인 NGO BUD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도 불가촉천민, 빈곤계층, 취약계층, 청소년 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하기로 함 |
2020년 1월 11일 | 2020 International Sati Workshop 개최. 인도 델리대학교 대학원생, 동국대 경주캠프서 대학원생, Internatioanl Sati School 학생등 160여 명이 참여해 Original Buddha Style의 수행기술을 오리지널 텍스트인 『Majjhima Nikāya』에 기초해 배우고 익힘. 국제규모로 확장해 개설한 것은 2020이 처음 |
2020년 2월 6일 | Buddhagaya에 건립할 분황사건립과 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을 조계종과 체결. 분황사를 건립할 토지는 영축총림 통도사 청하문도회가 기증하고, 법인은 Mula Sangha, 건립자금은 조계종에 기탁된 보시금을 사용하고, 운영은 Mula Sangha가 담당하기로 함 |
2020년 2월 24일 | 인도 델리대학교(University of Delhi) 본부와 수행과학연구소 International Sati Reseach Institute가 수행지도와 수행자양성에 관한 업무협약 체결. 세계 최초 |
2020년 8월 7일 | ‘기억무게와 마음무게’를 주제로 한국생명과학회 국제학술대회 특별강의 |
300년 불사 두 번째 30년 활동 | |
2030년 첫 10년 | 무료 의과대학 설립추진 수행 프로그램 개발(50개) 수행 콘텐츠 개발(1000개) 수행지도자 양성(10,000명) 소형병원 설립 |